포스코ICT, IBM과 국내 최초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개발

2010.10.28

- 풍력,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 등 연계한 에너지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신재생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스마트그리드 핵심 시스템 기술

-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 단지에서 검증 후 산업 현장 본격 적용

풍력, 태양광 등과 같이 출력이 불규칙한 신재생 에너지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국내 최초로 개발될 예정이다.

포스코ICT(대표 허남석)와 한국IBM(대표 이휘성)은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공장, 빌딩, 일반 가정 등 수용가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신재생 에너지 통합 전력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개발한다고 밝혔다.

신재생 에너지 전력관리시스템은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기존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설비를 운영하는 스마트 그리드의 필수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스마트그리드에 적용되면 에너지 수요?공급 변화에 대한 사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실시간 대응체계 수립하여 신속한 에너지 운영 계획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바람, 태양광 등과 같이 기상 조건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에너지원을 실제로 공급할 때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 실시간 전환함으로써 수용가에서는 기존 전력과 같이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상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다양한 민감도 분석을 통한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번 개발에서 포스코ICT는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을 위한 최적의 발전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력 생산을 결정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등 개발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시스템 개발을 내년 5월까지 마무리 짓고, 이를 포스코ICT의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철강, 화학 등 제조 공장과 신규 산업단지 및 빌딩 등에 공동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포스코ICT 스마트 그리드 추진단 최창호 상무는 “포스코 ICT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스마트 그리드 사업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며 “내년까지 지능형 신재생에너지 전력 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제주 실증 단지에 선적용하고 시범 도시 및 산업현장 등에 적용함으로써 국내 스마트 그리드 시장의 선두 주자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