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ESS 융합모델 마련 나선다

2016.01.22

풍력+ESS 융합모델 마련 나선다
- 제주도와 함께 신재생발전에 ESS 의무 적용을 위한 기술 기준 마련 

- ESS 활용, 기후변화에 따라 불규칙한 풍력발전 출력안정화 유도

포스코ICT(대표 최두환)가 제주도와 함께 신재생 에너지원을 활용한 발전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연동해 수용가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제주도 행원풍력발전단지에서 현재 운영중인 3㎿급 풍력발전기에 ESS(PCS 용량 1㎿•배터리 500㎾h)를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올해 말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풍력+ESS’ 융합모델을 현장에서 실증하면서 출력 안정화와 발전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최적의 운영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이번 실증사업 결과를 기반으로 신재생발전에 대한 ESS 의무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앞으로 1년 동안 풍력발전에 어느 정도 용량의 ESS를 적용해야 계통에 안정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지, 또 발전 사업자 입장에서는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는 날씨나 기후변화에 따라 발전량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계통에 곧바로 연결할 경우 전력계통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SS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계통 전체의 품질을 확보하려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현재 신재생 에너지원을 활용한 발전의 비중이 30%를 육박하고 있는 제주도는 2030년이면 90%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주도처럼 일정한 지역이나 국가에서 신재생에 의한 발전 비중이 높을 경우 전체 전력 품질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ESS의 의무 적용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유럽은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관련해 ESS 보급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도입해 시행 중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2014년부터 공급 전력의 2.25%, 2020년 5% 이상 수준을 ESS로 적용하도록 하는 ESS 설치 의무화 법안을 2010년 9월 제정해 운영하고 있고, ESS 도입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독일도 태양광 시설과 관련해 ESS를 설치할 경우 설치비용의 30%를 지원한다.

한편, 포스코ICT는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 과제의 '스마트 리뉴어블(Smart Renewable)' 분야에 참여하여 2㎿급 ESS 자체 개발을 하고,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출력 안정화 분야에서 특허를 이미 확보하고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