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PR센터
- NEWS
포스코ICT, 중국 최대 관심사인 미세먼지 잡는다.
2013.12.06
- 스모그 발생방지에 탁월한 MPS, 중국시장 본격 수출(1단계 1,300만불)
- 분진 제거율은 50%이상 향상, 전력절감효과도 80%이상 절감 가능
포스코ICT(대표 조봉래)가 개발한 산업용 전기집진기인 마이크로 펄스하전장치(MPS : Micro Pulse System, 이하MPS)이 중국시장 수출 길에 오른다.
포스코ICT는 5일, 포항에서 조봉래 사장과 중국 포이스트 정란쟝(郑岚江) 동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MPS 수출을 위한 출하식을 가졌다. 이번에 출하되는 제품은 포스코ICT의 중국 대리점을 통해 허베이성(河北省)에 있는 친황다오 (秦皇島)화력발전소로 공급될 예정이다. 처음 출하물량은 16세트이고, 100세트에 대한 추가 공급이 함께 계약 체결이 되어 전체 수출 금액은 140억원 규모이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화력발전소와 제철소 소결공장, 시멘트 공장 등에서 대기로 유출되는 오염물질은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오염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데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국가별 강력한 환경정책을 발효해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의 경우 대도시의 미세분진으로 인한 스모그(운휴)가 심각한 사회문제(유아사망, 고속도로 통제 등)로 대두되면서 최근 들어 강력한 환경정책이 발효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5년 이내에 47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석탄화력발전소와 제철소의 분진 배출농도를 20~30mg 이하로 감축할 것을 정부에서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환경설비에 대한 성능개선에 적극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산업공정에서 먼지를 비롯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전기집진기가 주로 적용되고 있는데, 기존 전기집진기는 미세분진을 제거하는 효율이 낮고, 전력 소모량이 많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코ICT가 세계 최초로 개발해 선보이는 MPS는 고전압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력을 이용해 기존 제철소를 비롯한 산업현장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집진판에 부착시켜 분진을 제거하는 기술로 종전 DC하전 기술방식에 비해 분진 제거율은 50%이상 향상이 되며, 에너지 사용량은 80%이상 절감이 가능하고, 2배이상 집진 성능도 향상 시키는 높은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 집진실의 증설 없이 장비 교체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국 다수의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기술제안을 요청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향후 포스코ICT는 MPS를 비롯한 관련 제품을 패키지 형태로 상품화하여 국내 제철소와 화력 발전소를 비롯한 산업현장에 적용하는 한편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등과 같은 해외시장도 단계적으로 공략해나갈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지난 1990년대 말부터MPS기술 개발에 착수, 산학연 공동으로 제품개발에 성공하여 포항제철소를 비롯한 GS칼텍스, 보령화력발전소와 같은 산업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포스코ICT 이승주 전무는 “이번 제품 출하를 계기로 MPS를 비롯한 관련 제품을 패키지 형태로 상품화하여 국내 산업현장은 물론 중국 등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 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