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PR센터
- NEWS
음식 폐기물, 사료 원료로 다시 태어난다
2010.02.25- POSCO ICT, 대구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시설 구축 사업 수주
- 음식물 폐기물 활용 가축용 사료 원료, 보일러 기름으로 재활용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가축용 사료와 재생 에너지로 다시 태어나게 될 전망이다.
포스데이타와 포스콘의 통합법인인 POSCO ICT가 대구시와 경산시에서 수거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가축용 사료 원료로 전환하기 위해 경동기업에서 발주한 음식 폐기물 자원화 시설 공급 및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
POSCO ICT는 전체 사업규모가 210억 원 규모인 이번 사업에서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설비, 음식물 폐기물내의 오일 추출시스템, 폐수처리시스템 등의 음식물 폐기물에 대한 전체적인 인프라를 올 연말까지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경상북도 경산시에 자리잡게 될 음식물 재활용센터는 하루 기준 3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서 이번에 구축될 시스템을 이용해 연간 9,300톤의 사료를 생산할 수 있다.
재활용센터를 통해 음식물 폐기물의 85%를 차지하는 폐수의 완벽한 처리도 가능해진다. 재활용센터는 시간당 255톤의 폐수를 일반 하천에 방류할 수 있는 수질(BOD 30ppm이하)로 처리하여, 현재 해양에 폐수를 투기하는 기존방식과 비교해 톤당 4만원 이상의 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올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음식 폐기물에서 기름을 분리하여 년간 2,300톤 규모의 보일러 연료를 생산하고, 건조 공정 중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 자체 시설의 난방용 연료로 활용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대구와 경산시는 이번 사업으로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확보하는 한편 폐기물 재활용과 자원화를 위한 교육장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POSCO ICT 관계자는 “그동안 음식물 폐수는 주로 해양에 투기 해왔으나, 2012년 이후에는 이러한 행위가 국제법에 의해 금지되기 때문에 음식 폐기물 자원화 시설 구축이 절실한 상황” 이라며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지자체별로 관련 시설에 대한 수요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POSCO ICT는 일상 생활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사업으로 소각로 제어시스템, 집진&탈황·탈질용 설비시스템(MPS&MPC), 상·하수처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